병원에 갔는데 신분증이 없어 본인확인이 안 된다면 참 난감합니다.
2024년 5월 20일부터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시행되었는데요. 이제 본인확인을 해야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신분증을 안 가져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글에서는 병원에서 신분증이 없을 때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신분증 확인을 하는 이유
건강보험 무자격자의 부정수급 차단
건강보험증 도용으로 인한 약물 오남용 예방
≣ 목차
모바일 건강보험증으로 간편하게 확인
요즘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대부분의 일이 해결되죠. 병원에서도 마찬가지로 가능한데요.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미리 설치해 인증하면, 신분증 없이도 본인 확인이 가능합니다.
설치방법
-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검색해 다운로드합니다.
-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치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 앱을 열어 QR코드나 인증 화면을 보여주시면 본인확인 절차는 완료됩니다.
추가 확인
모바일 운전면허증: PASS 앱에서 운전면허를 등록하면 병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디지털 원패스, 카카오 인증서 등을 통해 본인 확인이 가능합니다.
진료 후 사후 확인 제도 활용
만약 스마트폰도 없고 신분증도 없다면 어떻게 할까요?
이 경우, 병원에서는 '진료비 전액'을 선결제 후 진료를 받고 추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사후 확인 절차
- 진료를 받고 난 뒤, 병원에서 제공한 영수증을 보관해 주세요.
- 14일 이내에 신분증을 지참하고 병원을 방문합니다.
- 병원에서 확인한 후 초과 지불된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른 신분 확인 서류
병원에서는 신분증 이외에도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문서가 있다면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인정되는 서류
- 건강보험증
-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 국가 보훈등록증, 장애인 등록증, 외국인등록증 등
- 사진과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행정, 공공기관 발행 증명서
단, 캡처본이나 사진 파일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응급 상황일 때
응급환자라면 신분증을 제시하지 않아도 진료가 가능합니다. 이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병원이 응급 상황에서 진료를 우선 제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외가 인정되는 경우
- 응급환자
-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이나 고령자
- 미성년자(19세 미만)
- 기존 병원에서 최근 6개월 이내 진료를 받은 재진 환자
글을 마치며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는 건강보험 자격 도용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과거에는 타인의 신분을 도용하거나, 건강보험 무자격자가 혜택을 받는 사례가 많았다고 해요.
병원 방문 시 신분증이나 대체 서류를 지참하지 못했더라도, 대체 방안을 활용하면 문제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아무리 스마트폰으로 다 되는 세상이라지만 병원이 아니라 외출 시에는 꼭 신분증을 챙기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잊지 마세요!
보건증 발급방법이 궁금하시다면▼
'건강플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비약 종류 총정리: 효과, 부작용, 복용법 꼭 알아두세요! (2) | 2025.01.23 |
---|---|
감기에 좋은 음식: 빠른 회복을 위한 선택 (3) | 2025.01.22 |
췌장암 초기 증상과 예방법, 꼭 알아두어야 할 정보 (1) | 2025.01.14 |
BNR17 유산균 효능 높이는 7가지 습관 (0) | 2025.01.13 |
에키나포스 프로텍트정 효능 가격 주의사항 (1) | 2025.01.11 |
댓글